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22년 베트남 원유·가스산업 현황 및 전망 2022.03.31 |
---|
|
2022년 베트남 원유·가스산업 현황 및 전망 1. 베트남 원유·가스 산업 가. 원유·가스 산업 현황 ㅇ (원유 매장량) 베트남 석유매장량은 44억 배럴(barrels)로 전세계 석유매장량의 0.3% 비중을 차지 ㅇ (원유 생산량) '21년 베트남 원유생산량은 전년대비 △6.5% 감소한 1,070만 톤을 기록 - 지난 5년간 베트남 원유생산량은 연평균 △8.85%의 감소율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감소세를 기록
ㅇ (천연가스 매장량) 베트남 천연가스 매장량은 6천억㎥로 전세계 천연가스 매장량의 0.3% 비중을 차지 ㅇ (천연가스 생산량) '21년 베트남 천연가스 생산량은 전년대비 △20.0% 감소한 72억㎥를 기록
ㅇ (석유 소비량) '21년 베트남 석유 일일소비량은 전년대비 △11.9% 감소한 49만 1천 배럴을 기록 - 전세계적으로 석유소비량이 전년대비 △9.0% 감소한 것과 비교하여 더 큰 폭의 감소를 기록 - 이는 '21년 7~9월 베트남 주요 도시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국내 석유 소비수요 급감에 의한 것으로 추정 ㅇ (베트남 유가) 국제유가 상승에 영향을 받아 최근 리터당 최고 29,820VND까지 상승 * 베트남은 공상부(MoIT)가 매월 1일, 11일, 22일에 국내 유가를 발표 - '21년 세계 주요국 경제가 재개되면서 석유 수요가 증가한 것과 '22년 2월 러시아·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국제유가의 급등이 베트남 유가에 영향
나. 수출입 현황 ㅇ (원유 수출입) '21년 베트남 원유 교역액은 전년대비 27.5% 증가한 68억 6,710만 달러를 기록 - 원유 수출, 수입량이 전년대비 감소하였지만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해 원유 수출, 수입액은 증가 ㅇ (원유 수출) '21년 베트남 원유수출액은 전년대비 8.8% 증가한 17억 1천만 달러를 기록 - 원유수출량은 전년대비 △32.8% 감소한 302만 5천톤을 기록 - 베트남産 원유의 28.3%(중량기준)는 베트남 정유시설에서 정유할 수 없는 종류의 원유로 추정되며, 내수공급보다는 국제 입찰을 통해 해외로 수출 ㅇ (원유 수입) '21년 베트남 원유 수입액은 전년대비 35.3% 증가한 51억 5,710만 달러를 기록 - 원유 수입량은 전년대비 15.4% 감소한 993만 8천 톤을 기록 - 주요수입국은 쿠웨이트(45억 6,300만달러)로 절대적 비중(88%) 차지 - 베트남은 산유국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원유생산량의 감소와 정유시설 확충으로 인한 수요 증가, 국내 소비수요 증가 등으로 원유를 수입
- 특히, Nghi Son 정유시설이 상업가동을 실시한 '18년 이후 베트남의 원유수입이 크게 증가
* 최근 베트남 원유 수입 추이(단위: 만 톤) ·'17년(118) -'18년(518) -'19년(778) -'20년(1,175) -'21년(994)
ㅇ (천연가스 수입) 천연가스 수입액은 전년대비 74.7% 증가한 14억 5,500만 달러를 기록 - 천연가스 수입량은 전년대비 14.4% 증가한 207만 1천톤을 기록 - 주요 수입국은 중국(2억 6,110만 달러), 카타르(1억 7,180만 달러), 아랍에미리트(1억 6,370만 달러), 쿠웨이트(1억 1,270만 달러) 등
다. 최근 이슈 ㅇ (국내 공급량 확보 노력) '22년 3월, 베트남 정부는 석유가격 급등으로 국내 공급량 확보를 위해 베트남 석유가스공사에 석유 수출입을 중단할 것과 정유시설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할 것을 지시 - 바리아-붕따우성(Ba Ria-Vung Tau) Long Son에 생산량 1천만 톤 규모의 세 번째 정유공장 건설을 위한 행정 절차를 진행 중 - 해당 정유공장은 '23년 완공예정이며 완공 시 베트남 정유 총생산량이 2,3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
ㅇ (국내 휘발유 부족) 최근 베트남 최대 정유소인 응히선(Nghi Son) 정유시설이 재정문제로 인해 '22년 1월부터 생산량을 20% 감축하여 국내 휘발유 부족 문제가 발생 - Nghi Son 정유시설의 모회사인 베트남석유가스공사가 원유수입 대금 지불문제로 원유선 2척 수입을 취소하여 정유시설 가동률이 하락한 것이 원인 - Nghi Son 정유시설의 생산량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Dung Quat 정유시설의 가동률을 105%까지 높여 가동 중 ㅇ (국내 휘발유 가격 급등) 국제유가 상승,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석유 공급 불확실성, 국내 주요 정유시설 가동률 저하 등 베트남 휘발유 가격이 급등 - 베트남 정부는 급등하는 휘발유 가격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고자 베트남 정부는 '22년 4월 1일부로 연료에 대한 환경세를 절반으로 인하*하기로 결정 * '22년 12월 31일까지 적용 ㅇ (베-중 영유권 분쟁) '20년 중국 해양탐사선 및 경비정이 베트남 Tu Chinh 해역에 진입, 06-01 광구에 가까이 접근하는 등 중국 측의 지속적인 긴장 및 갈등 조성이 최근까지 진행 - 중국과의 해역분쟁으로 베트남원유가스공사는 탐사활동에 소극적이며 기발견 가스전* 개발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 2. 향후 전망 ㅇ (원유생산량 감소) 현재 베트남 최대 유전인 밧호(Bach Ho) 유전은 전체 원유생산량의 약 60% 비중을 차지하나 매장 자원이 빠르게 감소하는 상황 - 그러나, Bach Ho 유전의 생산량 감소분을 상쇄할 새로운 유전의 발견이 없어 베트남 원유생산량 감소는 앞으로도 불가피할 전망 ㅇ (가스생산량 증가) 향후 3년간 새로운 천연가스 생산시설들이 가동할 예정으로 170억㎥ 이상의 생산량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 - Nam Du, U Minh, Block B-O Mon, Ca Voi Xanh 등 천연가스 생산 시설이 '22~'23년 완공되어 가동될 전망 ㅇ (원유 무역적자 지속) 지속적인 베트남 원유생산 감소 및 정유처리능력 향상 부재로 베트남 원유 교역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ㅇ (유가상승 가능성)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제회복에 따른 글로벌 석유소비 수요 증가와 러시아·우크라이나 사태 등 석유 공급 불확실성 문제로 원유 가격이 상승할 여지가 큼 ㅇ (천연가스 수요증가)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국내 천연가스 사용량이 증가할 전망 - 베트남은 '21년 유엔기후변화회의(COP26)에서 '22년까지 순탄소배출량을 0%까지 감축에 합의함에 따라 석유, 석탄에 대한 에너지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예상
ㅇ (LNG 수요증가) 베트남 정부의 친환경 재생에너지 장려 정책으로 전력발전부문에서 액화천연가스(LNG)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 - 8차 국가전력개발계획에 따라 '30년까지 20기 이상의 LNG 발전소를 건설할 것으로 전망
3. 한국기업의 시사점 ㅇ 베트남은 국내 원유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에서 국내 석유소비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새로운 유전탐사가 필요한 시점 - 한국기업은 베트남석유가스공사와 공동운영 또는 합작투자 방식으로 유전탐사개발 진행 가능 ㅇ 베트남의 탄소배출 감축 노력으로 LNG 처리시설, 발전소 등 건설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한국기업에 건설공사 수주 기회가 계속해서 존재할 것으로 전망
ㅇ 현재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정유량으로는 중단기적으로 국내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어 한국 정유기업에 기회로 작용할 전망 - 베트남이 세 번째 정유시설을 건설 중이나 신규 정유시설의 생산량을 고려하더라도 향후 10년간 정유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격차가 여전히 존재할 것으로 전망
□ (참고) 한국기업 투자 ㅇ (현대건설) Technip Italy와 각각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Dung Quat 정유시설을 개선 및 확장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- 동 프로젝트 이후 해당 정유시설의 처리능력이 기존 일 4만 배럴에서 일 17만 배럴까지 증대되고 정유 품질 또한 향상될 것으로 전망 ㅇ (삼성물산) '19년 PetroVietnam Technical Services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1억 8천만 달러 규모의 베트남 최초 LNG터미널 공사를 수주 - 호치민시에서 남동쪽으로 약 70km에 위치한 티바이(Thi Vai)에 18㎥ 규모의 LNG탱크 1기와 기화송출설비 등을 '22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할 예정 ㅇ (한국가스공사 등) '22년 한국남부발전, 한화에너지, T&T Group 등의 기업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꽝찌성(Quang Tri)에 23억 달러 규모의 LNG 발전소 1단계 건설 착공 - 1단계 사업은 22만 6천 ㎥의 LNG를 운반 가능한 선박 및 연간 150만 톤 규모의 LNG를 처리 가능한 항만 시설을 포함하며 '26~'27년 상업운전을 개시할 예정
※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 바랍니다. ※ 관련보고서 (1) 2019년 베트남 원유·가스 산업 현황 및 전망(2019.12.09) (2) 2018년 베트남 원유·가스 산업 현황 및 전망(2019.01.04) (3) 베트남 원유가스 산업 동향 및 전망 (2017.07.26)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