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의 현황과 전망 2017.05.17 |
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
||||||||||||||||
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의 현황과 전망
1. 시장 개요
* 출처 : 인도네시아 자동차 제조업 협회 (GAIKINDO),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 (BKPM)
?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은 1990년대부터 자국의 자동차 산업 육성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왔음. 이로 인해 자동차 생산 및 판매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. 2013년과 2014년에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 규모와 생산량 모두 12억만 대를 돌파한 후 현재는 과거에 비해 약간의 감소 추세.
?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은 오래 전부터 일본이 사실상 독점해왔으며, 국가별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이 항상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. 일본을 제외한 국가의 시장 점유율은 1~2% 내외로 매우 미미함.
2. 2017년 1분기 시장 현황 □ 국내 생산 및 판매 현황
? 2017년 1분기 국내 생산량은 약 319만 대이며 판매량은 약 282만 대.
? 16년에 이어 올해에도 가장 많이 판매된 차종은 4X2 타입.
□ 수출입 현황
? 인도네시아 자동차 제조업 협회(GAIKINDO)에 따르면, 2017년 1분기 완성차(CBU) 수출량은 5만 6천여, 수입량은 1만 9천여.
□ 투자 현황 ?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(BKPM)에 따르면, 2017년 1분기 운송 장비 분야의 해외직접투자(FDI)의 규모는 5억 3백만 달러. 내국투자(DDI)의 규모는 1억 9천 5백만 달러.
3. 부품산업 및 관련 산업 현황 □ 부품 산업
? 인도네시아는 원자재 및 부품의 수입의존도가 높으며, 주요 부품의 평균 30% 이상을 일본에서 수입.
?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원자재 및 부품 수입의 비중을 기존 80%에서 30%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.
□ 타이어 산업 ?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타이어 및 고무 산업 역시 활성화 되고 있음. 최대 타이어 제조기업 가자뚱갈(Gajah Tunggal)의 2017년 1분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0% 증가한 약 3억 7천 7백만 원.
4. 시장 전망 ? 과거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는 시장이었으나, 근래에는 고속도로 인프라 부족과 높은 원료 및 부품의 수입률과 같은 한계점에 부딪히며 성장이 정체되기 시작함.
? 이륜차의 높은 수요, 인도네시아 중산층의 꾸준한 성장, 주요 일본 기업들의 신공장 설립 움직임 등으로 보았을 때, 정부의 여러 정책들과 맞물려 관련 인프라들이 구축되면 앞으로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.
*** 세부내용 및 관련 참고파일은 첨부파일 참조 요망.
|